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가양역카페
- 스피치지도사자격증
- 마포구청역맛집
- 프레젠테이션
- 한국자격검정평가진흥원
- 가양역맛집
- 직장인PT
- 등촌동맛집
- PT발표
- 반려견
- 신혼부부
- 반려동물관리사
- 예비부부
- 을지로카페
- 스피치강사
- 강서구맛집
- 반려동물용품
- 스피치
- 중국문화
- 발표
- 다이어트
- 스피치전문지도사
- 가양역
- 서울시융자추천서
- 중국
- 스피치지도사
- 자격증
- 등촌동카페
- 가양역카페추천
- 반려동물
- Today
- Total
목록스피치지도사 (8)
웰컴투 꾸냥이월드

보이스. 목소리에 대해서 생각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우리가 일상생활을 할 때는 목소리가 호감가지 않더라도 기본적인 의사소통은 가능하기 때문에 좋은 목소리에 대한 간절함이 덜했던 것 같습니다. 매력적인 보이스를 갖는다면 더욱 좋겠지만 아니어도 일상생활에 큰 지장이 있는 건 아니니까요. 하지만 목소리가 주는 힘은 정말 대단한 것 같습니다. 여러분은 혹시 이왕이면 어떤 목소리를 갖고싶다는 생각을 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사람마다 음색은 다르지만 누구나 공명이 있는 매력적인 보이스를 연출할 수 있답니다. 공명이란 쉽게 말해 목소리의 울림입니다. 울림은 사람의 마음을 안정시켜주고 듣는 귀가 편안하게 만들어 줍니다. 왠지 화장실에서 샤워하면서 노래를 부르면 뭔가 더 잘 부르는 것처럼 느껴지지 않나요? 화장실에서는 ..

발표가 끝나면 Q&A 시간이 찾아오게 됩니다. 물론 좋은 대화로 이어지면 훨씬 좋은 마무리가 되겠지만 대답하기 곤란한, 공격적인 질문이 들어온다면 발표할 때보다 더 긴장되는 시간이 될 것입니다. 이 Q&A 시간을 어떻게 잘 활용할 수 있을지, 곤란한 질문에는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지 알아보겠습니다. Q&A의 요령과 팁 1. 침착하라 - 모든 질문을 예상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미리 예상 질문을 생각해본다면 당황하지 않고 적절히 대응하는 연습을 할 수 있습니다. 2. 청중의 반응을 읽어라 - 질문하는 사람의 표정, 목소리를 살펴보고 질문자가 호의적인지 적대적인지 구별할 수 있습니다. 3. 연습하라 - 주변인들에게 도움을 청해 청중의 역할을 부탁하세요. 하지만 주변인들이 너무 호의적인 태도만 보인다면 실제로..

이제까지 청중과 조금 더 가까워질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가가고 싶지만 먼 당신. 그들이 바로 청중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럼 이 청중들과의 소통을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흥미로운 질문을 던져라! 흥미로운 질문 하나만으로도 대화가 활성화되면서 분위기는 좋은 방향으로 흘러갑니다. 이때, 어떤 질문을 던지는가가 좋은 방향으로 대화를 이어나갈 수 있는지 좌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 보는 청중들에게 어떤 질문을 할지 선택하기가 굉장히 어렵습니다. 1. 상황 질문을 하라. - 자문자답은 NO! 추상적인 질문도 NO! 조금 더 구체적인 상황을 설정해서 질문을 해주는 게 청중이 대답하기 더 쉽습니다. 예를 들어, '~같은 생각을 가졌던 적이 있나요? ~을 얼마나 자주 하나요? 가장 최근에 ~했..

만약 우리가 구조를 잡아두지 않고 이야기를 풀어나간다면 중구난방으로 말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프레젠테이션 스피치의 구조를 어떻게 준비하고, 채워나가야 할지 알아보겠습니다. 3단계 구조의 포인트 1. Opening 청중들의 흥미를 끌면서 이야기를 시작하고, 앞으로 Body에서 할 이야기를 궁금해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2. Body 본론 안에서도 구조를 만들어야겠죠? 예를 들어 (첫째,둘째,셋째 / 서론, 본론, 결론) 이 정도로 할 수 있겠습니다. 물론 정보의 내용이나 상대에 따라 구조는 달라지게 됩니다. 3. Closing 내용에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마지막 마무리는 기억에 남을만한 메시지를 준비합니다. Body에 신경 쓰느라 클로징을 급하게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클로징에도 신경을 쓰면 좀 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