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한국자격검정평가진흥원
- 다이어트
- 스피치지도사
- 반려동물
- 신혼부부
- PT발표
- 가양역맛집
- 마포구청역맛집
- 예비부부
- 강서구맛집
- 반려견
- 발표
- 스피치강사
- 가양역카페
- 중국문화
- 중국
- 가양역카페추천
- 등촌동맛집
- 자격증
- 프레젠테이션
- 스피치
- 스피치전문지도사
- 서울시융자추천서
- 을지로카페
- 직장인PT
- 반려동물관리사
- 등촌동카페
- 스피치지도사자격증
- 반려동물용품
- 가양역
- Today
- Total
목록자격증 (6)
웰컴투 꾸냥이월드

만약 우리가 구조를 잡아두지 않고 이야기를 풀어나간다면 중구난방으로 말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프레젠테이션 스피치의 구조를 어떻게 준비하고, 채워나가야 할지 알아보겠습니다. 3단계 구조의 포인트 1. Opening 청중들의 흥미를 끌면서 이야기를 시작하고, 앞으로 Body에서 할 이야기를 궁금해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2. Body 본론 안에서도 구조를 만들어야겠죠? 예를 들어 (첫째,둘째,셋째 / 서론, 본론, 결론) 이 정도로 할 수 있겠습니다. 물론 정보의 내용이나 상대에 따라 구조는 달라지게 됩니다. 3. Closing 내용에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마지막 마무리는 기억에 남을만한 메시지를 준비합니다. Body에 신경 쓰느라 클로징을 급하게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클로징에도 신경을 쓰면 좀 더 ..

PT(Presentation)이란? PT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게 파워포인트, 빔프로젝터 아닌가요? 이들은 PT를 하는 데 쓰이는 하나의 도구일 뿐! 꼭 파워포인트나 빔프로젝트 포인터가 있어야 PT라고 하는 것은 아닙니다. PT란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정해진 시간 내에 정해진 장소에서 원하는 목적을 전달하는 의사전달 수단입니다. 청중으로 하여금 의사결정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본 분석 요소(3P 분석) 1. People : 청중이나 고객, 또는 의사결정권자의 성향 청중을 분석하라. 청중은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무언가를 얻어가려고 하는 의지가 있습니다. 이런 욕구를 청중의 니즈(NEEDS)라고 하는데 공식적인 NEEDS와 비공식적인 NEEDS,..

사람들 앞에서 말을 잘하고 싶은데 목소리는 염소소리 매에에... 손은 덜덜 떨리고 긴장되는 분들 있으시죠? 왜 우리는 사람들 앞에만 서면 긴장을 하게 될까요? 오늘은 긴장의 원인을 찾아보고 극복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발표불안의 원인 4가지 1. 성격적인 불안 : 소심, 수줍음, 완벽주의, 흥분, 부정적 상상 - 의외로 완벽주의 성격을 가진 사람들이 발표를 할 때도 완벽하게 해낼 수 있을 것 같지만 '나는 절대 실수를 하면 안 되는 사람이야'라고 생각해서 더 긴장하는 성향이 있습니다. 내 성격을 완전히 바꿀 수는 없겠지만 발표를 할 때 만이라도 나의 성격을 좀 더 긍정적으로 바꿔봅시다. 2. 경험적인 불안 : 과거에 발표를 하다가 실수한 경험, 발표 트라우마 - 과거에 발표를 하다가 실수를 해서 놀림을 ..

저번 포스팅에서 스피치의 중요성에 대해서 충분히 알아봤으니 오늘은 스피치를 함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어떤 부분을 준비해야 하는지 알아봅시다. 로마시대 철학자 겸 정치가였던 키케로(Marcus Tullius Cicero)는 스피치를 다음과 같이 5단계의 프로세스로 나누었다고 합니다. 착상-배열-표현-암기-전달 1. 착상(Invention) 착상이란 스피치의 주제에 관한 아이디어들, 즉 서브주제들을 생각해 내는 과정입니다. 다양한 아이디어를 모으기 위해서는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하는 것을 추천해드립니다. 주제와 연관성이 높은 아이디어나 에피소드를 나열해 보는 거죠. 재료가 많아야 만들 수 있는 것이 많기 때문에 주제와 연관성이 작든 크든 모든걸 다양하게 적어보고 연관성이 작은 것부터 지워가면서..